본문 바로가기

커뮤니케이션9

학벌 사회_우리는 왜 학벌을 중요하게 생각할까? 대화중에 아자씨가 대뜸 그런다.         OO씨 있잖아! 재외전형으로 스카이 들어간 거 알어?          어? 그래? 몰랐어.         세상 참 좁아! OOO직장 다닐 때, 아는 사람이 있더라고. 우리는 똑똑해서 스카이간줄 알았잖아!  아자씨는 공부 잘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성실함을 아는 것은 성적뿐이고, 세상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기에, 성적이 중요하고, 학벌(대학)이 중요하단다.그래서 사람을 대학(학벌), 학점으로 평가한다. (늘 그런 것은 아니다. 나름 평가하는 기준의 영역이 있다)  곰곰히 생각해본다. 대학이 중요하면, 재외전형이든 아니든 OO씨가 스카이 졸업장이면 된다.그런데, 거기에 아자씨는 "똑똑함"의 부재를 말한다.그렇다면, 똑똑하다는 것이 대학(학벌)보다 상위의 개.. 2024. 11. 13.
염려로 말할 때, 내 아이는 어떤 경험을 할까? 중증 아토피를 가지고 있는 아이에게 말을 할 때,나도 모르게 염려하고 찡그린 표정(걱정의 표정이지만, 아이에겐 짜증으로 나타나는)으로 말을 했단다.사춘기가 지나면서 둘째가 나에게 말해줘서 알게 되었다.  그것을 들여다봤고, 사과했다.그리고 그 후로 나는, 아이를 사랑하는 그대로, 표정에 나타나며 말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오늘, 막둥이가 말한다.엄마가 염려하며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부담스럽다고.아!그럴수도 있겠구나.내가 사랑을 표현하는 대신, 염려로 부담을 주었구나.  지금 나는 그것을 들여다보는 중이다.공감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엄마인 나는, 이것을 꽤 열심히 들여다 봐야 깨달을 것이다.  나에게 표현해준 막둥아, 고맙다!지금이라도 알게 되어 다행이구나. 엄마가 들여다보고, 멈출께!사랑해, 울 .. 2024. 11. 9.
바람이 불지 않으면 창문을 열어도 환기가 되지 않는다. 실외 온도 섭씨 21.6도 실내온도 섭씨 27.2 창문을 열어본다. 바깥공기가 시원하다. 집 안의 창문을 죄다 열어놓는다. 매년 이무렵부터 새벽 환기는 일상이었다. 전날 아침부터 저녁까지 달구어진 집을 식히는 방법, 새벽 환기. 바깥공기는 차가운데, 실내는 여전히 후끈하다. 2층은 더 하다. 계단을 중간만 올라가도 찜질방 같은 열기가 느껴진다. 바람이..... 불지 않는다. 지난 주만 해도 새벽에 솔솔 부는 바람이 있었는데, 이제 바람이 불지 않는다. 우리 집 벽 두께는 평균 40cm. 낮에 달궈어진 벽이 식고, 2층으로 모인 열이 식어야 하는데, 통 환기가 되지 않는다. 환풍기라도 달아야 할 것을 그랬나? 집 짓고 3년은 여름에 에어컨이 없어도 괜찮을 정도로 시원했다. 겨울엔 가습기가 필요 없었고. 흙.. 2020. 6. 23.
좌절, 힘이 빠지는 공간에 있을 때 관계 커뮤니케이션 소통 대화 인간이 힘들다고 느낄 때, 힘들게 만드는 '그것'을 차지하는 대부분은 무엇인가? 아마도 관계일것이다. 관계에서도 특히 상대와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힘들고, 좌절하고, 체념하고, 포기하고 싶고.. 특히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렇다면... 내가 이럴려고 저 사람에게 .....들을 해줬나 (잘해줬나) 싶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직면하는 것이다. 직면하기. 사실은, 회피하고 싶고, 모른 척하고 싶고, 그냥 모르는 것으로 사람들이 알기를 바라고. 그런데, 관계에 문제가 된 바로 '그것'을, 나도 알고, 당신도 이미 알고 있다는 것. 아니라고? 모르겠다고? 모른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아주 짧은 시간, 어쩌면 0.000000001초 내 머.. 2020. 3. 20.